소뇌 실조(ataxia)의 원인, 증상, 평가방법, 운동치료
소뇌 실조(cerebellar ataxia)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 결함이나 질환으로 인해 소뇌가 손상을 당해 근육의 협응 장애(incoordination), 활동 떨림(intention tremor), 상반 운동 반복 장애(dysdiadochokinesia), 근긴장 저하(hypotonia), 평형장애 및 보행장애 등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소뇌 실조의 원인 -유전성: 뇌졸중, 외상, 종양, 대사성 질환, 감염성 질환이 없이 유전성으로 나타나는 질환군. -후천적: 뇌혈관성 질환, 뇌부상, 뇌종양, 암과 관련된 면역반응, 알코올 중독, 약물 부작용, 갑상선 기능이상, 비타민 결핍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소뇌 증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대게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소뇌 증상이 호전되는 사례가 많다. 소..
2022. 11. 15.
골관절염(OA)의 원인, 증상 및 중재, 류마티스 관절염과의 특징 비교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관절에 통증과 변형을 일으키는 퇴행성 관절염 또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척추 또는 다리와 같이 체중지지를 많이 하는 체중부하관절에 주로 침범하고, 중년과 노인에서 많이 발생하며,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와 관절면의 과잉 뼈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OA)의 원인 1. 일차성 또는 특발성 골관절염 일차성 골관절염은 특별한 원인과 손상기전 없이 정상적인 관절이 내적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연령, 성, 비만, 나쁜 자세, 유전요소, 가족력, 그리고 관절연골의 영양공급 불량 및 윤활작용 결함 등 다양한 내적 요인이 작용하여 발병한다. 2. 이차성 또는 속발성 골관절염 이차성 골관절염은 외상, 탈구, 감염, 변형, 내분비 기능 이상, 대사성 질환 ..
2022. 10. 25.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 증상, 진단기준 및 중재
류마티스 관절염은 인체의 여러 기관을 침범하는 전신성 다관절염으로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대표적이 자가면역성 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병하면 윤활막의 만성적 비대와 염증 발생이 특징적이다. 그로 인해 관절에 종창과 통증, 관절 주위 약화와 운동범위 제한 등이 나타난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 직접적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환경적,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체의 자가면역조절 기전의 이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만성적인 피로에 의한 전신쇠약과 스트레스, 지속적인 대사장애, 비타민 결핍과 같은 영양실조, 호르몬의 부조화 등이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키는 요인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 -전신 증상: 심한 피로감과 무기력감, 식욕 부진, 체중감소, 발열, 다른 장기로의..
2022. 10. 22.